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영화 스플릿 , 연출방식과 캐릭터 설계

by 트렌드 온에어 2025. 4. 5.

스플릿
스플릿


2016년 개봉한 한국 영화 스플릿은 볼링이라는 스포츠를 중심에 두면서도, 그 속에 인간관계, 내면의 성장, 사회적 현실 등을 세밀하게 담아낸 작품입니다. 겉보기엔 단순한 스포츠 드라마로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캐릭터 구성과 연출기법, 테마의 일관성 등에서 매우 높은 완성도를 자랑합니다. 특히 영화 관련 전공자나 연출시나리오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이라면 이 작품을 통해 장면 구성의 원리, 감정선 설계, 화면 미장센에 대한 실전적인 통찰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영화과 학생들이 스플릿을 어떻게 분석하면 좋을지에 대해, 연출 방식, 캐릭터 설계, 테마 구성이라는 세 가지 핵심 키워드를 중심으로 심층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스플릿 속 연출 방식

스플릿의 연출은 매우 섬세하면서도 효율적입니다. 감독은 볼링이라는 비교적 정적인 스포츠를 영화적으로 극대화하기 위해 다양한 시각적 기법을 동원합니다. 특히 경기 장면에서 사용된 고속 카메라와 다양한 렌즈의 활용은, 볼링공이 굴러가고 핀이 쓰러지는 순간을 단순한 경기 이상으로 승화시킵니다. 이러한 장면은 스포츠 영화의 박진감을 잘 표현하면서도, 인물의 내면 변화까지 담아내는 데 성공합니다. 그리고 카메라 무빙도 매우 인상적입니다. 인물 간의 갈등이 고조되는 순간에는 핸드헬드 촬영을 이용해 화면에 떨림을 주어 감정의 불안정을 표현하며, 감정적으로 안정된 장면에서는 고정된 구도나 부드러운 트래킹 샷을 활용해 시청자에게 안정감을 전달합니다. 이런 연출 방식은 장면의 정서와 시청자의 심리를 일치시키는 데 효과적입니다. 색감과 조명 역시 영화 전체의 분위기 형성에 기여합니다. 특히 실내 볼링장 씬에서의 네온빛 조명과 다채로운 색감은 이 공간이 단순한 경기장이 아닌, 인물의 감정이 교차하는 상징적 공간임을 시각적으로 암시합니다. 또한, 회상 장면에서는 전체적인 색조가 낮게 조절되어 과거의 기억이 어둡고 고통스러운 감정과 연결되어 있음을 자연스럽게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음악과 음향도 빼놓을 수 없는 요소입니다. 극적인 순간에는 배경음악을 극적으로 조절하고, 때로는 음악을 배제하고 음향 효과만을 활용함으로써 관객의 몰입을 유도합니다. 이런 연출은 이론서에서 배우는 시청각 언어의 실제 적용 사례로 매우 교육적입니다. 연출 수업이나 영상미학 수업에서 이 장면들을 분석하면, 장면 설계와 편집이 어떤 방식으로 감정과 긴장을 조율하는지를 구체적으로 학습할 수 있습니다.

주인공 캐릭터 설계

주인공(유지태)은 한때 전국을 호령했던 볼링 선수였지만, 여러 현실적인 벽과 내면의 상처를 겪으며 현재는 한 발 물러선 삶을 살고 있습니다. 그는 겉으로는 거칠고 냉소적인 태도를 보이지만, 그 안에는 볼링에 대한 미련과 책임감, 인간적인 따뜻함이 복합적으로 자리 잡고 있는 인물입니다. 철종은 영화의 흐름 속에서 점진적인 변화를 겪습니다. 초반에는 자신의 경험만을 중심으로 세상을 바라보며, 타인에게 감정을 열지 않습니다. 하지만 영훈이라는 인물을 만나며 점차 관계의 소중함과 자신 안의 가능성을 다시 발견하게 됩니다. 그의 말투, 걸음걸이, 눈빛 같은 표현은 모두 디테일하게 연기되어 있으며, 감독은 이를 위해 대사보다는 표정과 시선 처리, 주변 사물과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철종의 감정을 표현합니다. 이는 비언어적 연기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연출 방식이며, 배우를 꿈꾸는 학생들이 장면 분석 과제로 삼기에 매우 적합합니다. 그리고 철종의 캐릭터는 흔한 영웅 서사를 따르지 않습니다. 그는 완벽하거나 정의로운 인물이 아니라, 자신만의 방식으로 성장하고 다시 세상과 연결되는 법을 배워가는 사람입니다. 이처럼 현실적이고 입체적인 인물 설정은 극적 장치를 과도하게 사용하지 않고도 깊은 인상을 줄 수 있음을 증명하며, 창작과 연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교훈을 제공합니다.

서브 캐릭터와 테마의 구성

스플릿은 주인공만으로 이야기를 끌어가지 않습니다. 영화 속 모든 캐릭터가 각각의 목적과 감정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전체적인 테마를 형성해 나갑니다. 가장 인상적인 인물 중 하나는 영훈입니다. 그는 뛰어난 볼링 실력을 가졌지만 사회적 소통에는 익숙하지 않은 인물로, 철종과는 대조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러한 두 인물의 만남은 단순한 팀워크 이상의 의미를 지니며, 관계 형성 과정을 통해 서로를 변화시키는 계기가 됩니다.
영훈의 어머니 역시 주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녀는 아들의 가능성을 믿고 지지하는 인물로, 현실의 벽 앞에서도 포기하지 않는 강한 의지를 보여줍니다. 그녀의 존재는 영화에 감정적 안정감을 더해주며, 부모와 자식 간의 관계가 갖는 무게와 따뜻함을 상기시켜 줍니다. 볼링이라는 스포츠 자체도 상징적입니다. 핀을 쓰러뜨리기 위해 집중과 전략, 반복적인 연습이 필요한 운동이라는 점에서, 인생의 반복된 시도와 실패, 그리고 다시 일어나는 과정을 은유적으로 표현합니다. 이번 작품은 단순한 스포츠 영화의 외형을 띠고 있지만, 그 안에는 인간 심리와 관계의 본질, 그리고 성장과 극복이라는 보편적인 테마가 잘 담겨 있습니다. 그리고 연출 기법, 캐릭터 아크, 시각적 상징성, 서브 캐릭터 활용 등 영화의 전 구성 요소가 유기적으로 작용하고 있어서 전공을 하고 있는 학생들에게는 이보다 더 좋은 분석 자료가 없을 정도입니다. 과제를 준비 중이거나, 창작의 영감을 찾고 있다면, 지금 바로 스플릿을 다시 감상하고 자신만의 분석을 시도해 보시길 추천드립니다.